레이블이 ubuntu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buntu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월 11일 월요일

우분투 9.10 설치하기.. 1편

우선 우분투를 설치하기 전에 몇가지 준비할게 있습니다.. CD를 구해야 하는 등등.. 아래의 링크에 간단히설명해 놓은게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치전 준비사항

이제 우분투 설치 CD를 넣고 설치를 시작합니다..

1. 언어선택

언어 선택 화면입니다. 방향키를 이용해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위 그림과 다르다고요..F2키를 눌러보세요..

2. 우분투 설치
우분투 설치를 선택하고 Enter를 누릅니다.. 바로 설치하지 않고 우분투가 어떤건지 한번 둘러 보기를 원하시면 설치 위의 사용해 보기를 선택해 보세요.. 설치후의 화면과 같은 화면을 만나 보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각종 우분투 프로그램들을 사용해 보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우분투가 어떤것인지 살짝 맛볼수 있습니다..^^(라이브 CD기능 이라고 하죠..) 그리고 바탕화면에 있는 설치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시면 다시 설치과정이 진행됩니다..

3. 언어 선택
첫번째 과정에서 한국어를 선택했다면, 기본적으로 한국어가 선택되어져 있습니다.. 첫번째 과정에서 무심히 그냥 넘어갔을때 다시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앞으로 클릭..

4. 시간대 선택
기본적으로 아시아 - 서울로 되어있으면 앞으로.. 나는 유럽 런던에 살고있어서 언어는 한국어를 쓰지만 시간대는 런던시간을 써야한다면 지역및 도시를 변경해 주면 되겠습니다..

5. 키보드 선택
키보드 배치 선택을 클릭 아래의 박스에서 Korea, Republic of 선택..오른쪽에서 둘 중 선택..앞으로
만약 둘 중 어떤걸 선택해야 될지 고민 되신다면..자신의 키보드에 오른쪽 Ctrl키가 있어 사용할려면 위에것 아니면 밑에것.. 둘중 어떤것을 선택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6. 파티션(Partition) 설정
파티션 설정부분입니다.. 어떤 운영체제든지 설치중 가장 중요하고 까다로운 부분입니다.. 우선 여기서는 대략적인 내용만 살펴보고, 나중에 다시 세세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① 위 그림의 경우는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기존 설치해둔 운영체제없이 우분투를 처음으로 설치하는 경우로.. 아래에서 디스크 전체사용을 체크 후..앞으로를 클릭하면 우분투가 하드디스크에 알아서 설치되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② 수동으로 파티션 지정(고급)은.. 사용자가 직접 하드디스크를 우분투 설치 영역과 자료의 보관을 위한 영역 등으로 나눠 하드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③ 만약 수동으로 분할 지정을 선택하고 앞으로를 눌렀을 때는

위 그림처럼 파티션 작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이 나타나며, 파티션 작업을 마친 후 앞으로를 눌러주면 다시 설치 작업이 계속 진행됩니다..

☞ 파티션 알아보기..

우선, 우분투 설치하기 1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To be Continue..

우분투 설치하기 2편..








우분투 9.10 설치하기.. 2편

우분투 설치하기 1편..

그럼, 계속해서 우분투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7. 사용자 계정

앞으로 사용하게될 사용자 이름, 로그인 시 이름과 암호를 적어 줍니다.. 우분투 사용시 자주 물어보니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8. 설정 정보 확인
지금까지의 설치과정 중에 설정했던 부분들을 보여줍니다.. 수정할 게 있으면 뒤로를 아니면 설치를 눌러 줍니다..

참고로, 만약 기존에 xp나 기타 운영체제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분투를 멀티부팅으로 설치하시고 있다면 7번, 8번 사이에 하나의 과정이 더 들어가는데, 바로 기존 운영체제의 설정중 가져올 것이 있는지를 묻는 단계입니다.. 보통 무시하시고 앞으로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9. 설치 시작
이제 본격적인 설치가 시작됩니다.. 이전 버전과 다르게 9.10에서는 우분투 소개및 기능 소개 화면이 나오네요..^^ 한번 읽어 보셔요..
 
10. 설치 완료
설치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지금 다시 시작을 눌러주세요..

11. CD 꺼내기
설치 CD를 꺼낸후 Enter를 눌러주세요.. 재부팅 후 우분투가 시작됩니다..

12. 사용자 로그인

설치과정중 만든 계정 이름을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합니다..

13. 우분투 첫화면
드디어 우분투 첫 화면입니다..

14. 파이어폭스 & 업데이트 관리자

우분투 기본 웹브라우저인 파이어 폭스와 설치후 자동으로 뜨는 업데이트 관리자 입니다.. 업데이트 설치를 눌러 업데이트 하세요..

이상으로 우분투의 설치 과정을 모두 살펴보았습니다.. 설치과정이 직관적이라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을겁니다..^^ 그럼 모두 우분투의 세계로 빠져들어 봅시다..!!!!!!!!!!!!!!!!!!!!!!!!!!!!!!!

2009년 5월 28일 목요일

멀티부팅시 우분투 GRUB 복구하기..

멀티 부팅으로 우분투와 윈도우를 사용하던 중 윈도우를 재설치 하거나, 우분투가 깔린 컴퓨터에 윈도우를 설치 하게되면 우분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윈도우가 설치되면서 MBR(Master Boot Recoder)을 윈도우의 부트로더가 덮어 쓰면서 우분투의 부트로더인 GRUB을 날려버려, 우분투로 부팅이 되지않아서 입니다.. 이때 GRUB을 복구 시켜 줌으로써 두 운영체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참고로 반대의 경우 즉 윈도우가 깔린상태에서 우분투를 설치할 경우에는 GRUB가 설치되면서 윈도우의 부트로더를 인식해 같이 기억해 주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GRUB의 복구 방법을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우분투 라이브 CD(설치 CD)를 이용해 부팅 후.. 설치하지 않고 우분투 사용해 보기를 선택해 우분투로 들어와 터미널을 엽니다..


- sudo -i 를 입력해 루트권한을 얻습니다.
- grub 을 입력.. grub 프롬프트로 들어갑니다..

또는

- sudo grub 을 입력해 루트자격으로 grub 프롬프트를 엽니다..







- find /boot/grub/stage1 을 입력하면.. 아래에 결과물이 하나 나옵니다.. 제 경우엔 (hd0,2)..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위 결과물을 이용해..
- root (hd0,2) 를 입력합니다..
- setup (hd0) 를 입력..grub를 mbr에 다시 설치해 줍니다.. 그림처럼 설치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 quit 입력.. grub 프롬프트를 나옵니다..


- 터미널을 닫고 재시작(reboot) 하시면 됩니다..

이방법 외에도 Super_Grub_Disk 라는 유틸을 이용해 쉽게 복구하는 방법도 있네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634

2009년 5월 20일 수요일

버추얼박스(VirtualBox)에 게스트 확장 설치하기.. 그리고 심리스 모드

앞선 버추얼박스에 xp설치하기.. 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가상머신(버추얼박스)을 통해 게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하게 되면 약간의 제약이 따르게 됩니다.. 호스트, 게스트 운영체제간 마우스 전환문제라든지 공유 폴더 사용, 가상머신의 화면크기 조절 등에서의 제약을 말합니다. 이러한 제약들을 해소해 버추얼박스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게스트확장(Guest Additions)의 설치입니다..

게스트확장을 설치하게되면 운영체제간 마우스 포인트의 통합, 공유폴더사용, 뿐만아니라 심리스 모드로 전환이 가능해 집니다. 심리스 모드란.. 가상머신 상의 운영체제(xp)의 바탕화면이 보여지지 않고 xp의 프로그램 창을 호스트 운영체제에 그대로 보여주는.. 마치 xp의 프로그램을 우분투에서 바로 사용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모드를 말합니다.. 사용법은 간단하니 마지막에 잠깐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얼마전에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통해 구 버전 VirtualBox ose를 설치할땐 게스트확장 이미지파일을 다운받아.. 이름변경해 특정 폴더어 넣어주고 등등.. 해서 어렵게 설치했는데.. 최신버전에서는 클릭 몇번으로 바로 설치가 되네요..^^

1. 게스트 확장 설치

- 장치 > 게스트 확장 설치..


- 설치 마법사, License

윈도우에서 프로그램 설치시 많이 보던 그림이죠..!!  Next & I Agree

- 설치 위치, 재부팅

설치 위치를 선택하고, 재부팅 하라네요..  Install & Finish

- 설치가 끝났습니다..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Guest Additions 트레이 아이콘이 생기고.. 마우스 모양의 아이콘이 활성화 됐네요.. 성공..!!










2. 심리스 모드 사용하기

머신 > 심리스 모드

게스트 확장이 설치 되면 그림처럼 심리스 모드가 활성화 됩니다.. 단축키 Host+L 을 기억해두세요..
마지막으로 심리스 모드 스크린샷 하나.. 파이어폭스 + 인터넷 익스플로러




2009년 5월 18일 월요일

우분투 usb 인식이 안될때..

가끔 usb가 자동으로 마운트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집컴엔 우분투 9.04.. 가게엔 8.04를 쓰고 있는데 9.04에선 이상없이 자동으로 잘 인식되던 usb가 8.04에선 전혀 인식을 못합니다.. 할수 없이 구글 검색을 통해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아래의 방법으로 겨우 usb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뭐..!! 연결할 때 마다 일일이 터미널을 열어서 마운트 시켜야 하는게 조금 귀찮긴 하지만.. 이런것도 우분투를 쓰는 쏠쏠한 재미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usb가 자동으로 인식이 안될때..마운트 시키기..

1. 정보 얻기

장치의 볼륨명이나 파일시스템이 fat16,32인지 혹은 ntfs인지 우선 알아봅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를 입력합니다..

sudo fdisk -l                                                                                                                        

아래의 빨간 네모박스가 usb 관련 정보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제일 아랫쪽의 /dev/sdb1과 파일시스템이 fat32라는거..
위의 정보는 각자의 컴퓨터 상태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세요..

2. 마운트 포인트 생성

보통 우분투에서 fat32나 ntfs로 포맷된 하드디스크를 열면 /media/ 폴더안에 disk란 이름으로된 폴더에 마운트된 것을 볼 수 있을겁니다..  이처럼 usb장치도 media폴더안에 마운트지점을 만들어 줍니다.

sudo mkdir /media/extusb                                                                                                     

media폴더안에 extusb라는 이름의 폴더를 만들라는 명령 입니다.. 'extusb'는 임의의 이름이니 각자 원하는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3. usb장치 마운트

이제 usb를 마운트 시키면 됩니다..

sudo mount -t vfat /dev/sdb1 /media/extusb                                                                            

첫번째 정보얻기에서 usb장치의 볼륨명과 파일시스템을 이용합니다.. 대충 해석해보면
fat 파일시스템의 /dev/sdb1장치(usb)를 두번째 만들어놓은 마운트지점인 /media/extusb에 마운트 해라..입니다.

※ usb 한글이 깨져서 나올때.. 다음의 옵션을 추가해 줍니다..

sudo mount -t vfat /dev/sdb1 /media/extusb -o utf8                                                                 

만약 마운트할 장치의 파일시스템이 ntfs 라면..

sudo mount -t ntfs-3g /dev/sdb1 /media/extusb                                                                       

4. 언마운트

이제 usb장치 사용을 마쳤으면.. 연결을 해제해야 겠죠..

sudo umount /dev/sdb1                                                                                                        

또는

sudo umount /media/extusb                                                                                                  



2009년 5월 16일 토요일

우분투에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하기..

대한민국의 웹 환경 하에서..i.e(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버리긴 쉽지않습니다.. 금융기관이나 관공서, 인터넷 쇼핑몰 이용이나 보고싶은 영화하나 다운받아 볼려면 i.e를 설치해야 합니다.. 근데 이놈은 윈도우에서 밖에 설치가 안됩니다..ㅠㅠ 그래서..저 같은 우분투를 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이 들에겐.. 윈도우를 멀티 부팅으로 따로 설치하거나.. vbox같은 가상머신으로 윈도우를 돌리거나..또는 우분투에서 wine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해 리눅스용 i.e를 설치해 사용 해야합니다..
은행 잠깐 이용하기위해 시스템을 재시작하기는 귀찮고.. wine은 왠지 불안정해 사용하기가 그저그런..저 같은 유저들께..vbox 사용을 추천하며..간단한 설치및 사용법을 적어봅니다..


1. 버추얼박스 설치하기..

물론, 버추얼박스는 기본적으로 시넵틱 패키지(꾸러미)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건 구버전이고.. 최신 버전은.. 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우분투 버전에 맟는 deb파일을 받아 직접 설치하거나, 그 아래에 나오는 저장소를 추가해 최신버전을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저장소를 통한 설치방법을 추천합니다.. 나중에 게스트 확장 설치나 여러 면에서.. 편하고 오류같은것 없이 쉽게 설치되는 것 같습니다..

http://www.virtualbox.org/wiki/Linux_Downloads

* 저장소를 통한 설치 요약
① 터미널을 열고 sudo gedit /etc/apt/sources.list 입력후 gedit창이 뜨면 맨 아래쪽에 자신의 버전에 맞는 저장소 추가(if 8.04 : deb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debian hardy non-free)
② 터미널에 wget -q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debian/sun_vbox.asc -O- | sudo apt-key add - 입력후 엔터
③ 터미널을 통해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2.2 설치

2. vboxusers 그룹

VirtualBo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vboxusers 그룹의 일원이 돼야 한다고 합니다.

시스템 > 관리 > 사용자와 그룹


잠금 풀기 후 그룹 관리 클릭

vboxusers 선택후 속성 클릭

그룹 구성원에서 자신의 계정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이상으로 우분투에서 버추얼박스의 설치와 사용을 위한 준비 작업을 마쳤습니다..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Sun VirtualBox를 눌러보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xp를 설치해 봐야겠죠..

버추얼박스에 XP 설치하기..



2009년 5월 15일 금요일

우분투 소개하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분투는 리눅스 커널에 기반한 완전한 오픈소스 운영체제입니다.

컴퓨터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쓰는 Windows(xp, vista, 올해 새롭게 선보이게 될 윈도우 7 등), 맥 OS, UNIX 그리고 LINUX 등등.. 이중 LINUX는 최초 개발자인 스웨덴의 '리누스 토발즈'(Linus B. Tovalds)라는 사람의 이름을 딴유닉스와 비슷한 운영체제로, 유닉스가 유료로 판매하는데 반대하는 GNU 그룹에 의해 만들어져 계속해서 무료로 공개되는 운영체제입니다. 무료이다보니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 복사및 재배포를 할 수 있게 되고, 자유로움은 또한 수많은 배포판들을 만들게 됩니다. 우분투(ubuntu)는 이러한 LINUX의 데비안계열(이외에도 레드헷 등등의 계열이 있슴)의 배포판 중 하나인것입니다.

            우분투 9.04                                                Windows 7

우분투는 아프리카 중부지역에서 사용하는 반투어로,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 "타인을 향한 인간애"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인간애" 등등의 의미입니다. 이 의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우분투는 다음과 같은 철학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는 사용에 공짜이어야 하고, 소프트웨어 도구는 사람들의 모국어로 사용되고 어떠한장애도 극복해야 하고, 사람들은 소프트웨어를 고치고 그들에게 맞는 어떠한 방법으로 변경하는자유를 가져야 한다"

우 분투는 이러한 철학에 동참하는 여러분야의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운영 체제의 설치와 동시에 각종 응용프로그램들(ex..업무용 오피스, 멀티미디어, 시스템 관리, 간단한 게임 등)을 컴퓨터에 설치하게 됩니다. 또한 내게 필요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저장소를 통해 쉽고 빠르게 무엇보다도, 무료로 다운및 설치가 가능합니다.

우분투의 최신 버전은 9.04, 코드네임 Jaunty Jackalope(쾌활한 뿔달린 토끼)입니다. 여기서 우분투의 버전과 코드네임에는 재미있는 규칙이 있습니다.
우선 이전 버전의 버전수와 코드네임을 살펴보면..

4.10 Warty Warthog (사마귀 모양의 흑멧돼지)
5.04 Hoary Hedgehog (백발의 고슴도치)
5.10 Breezy Badger (산들바람의 오소리)
6.06 (LTS) Dapper Drake (날렵한 수오리)
6.10 Edgy Eft (날카로운 영원) *영원(newt) : 도마뱀처럼 생긴 동물
7.04 Feisty Fawn (기운찬 새끼사슴)
7.10 Gutsy Gibbon (용감한 긴팔원숭이)
8.04 (LTS) Hardy Heron (강건한 왜가리)
8.10 Intrepid Ibex (용맹한 야생염소)

대 충 감이오시죠..^^ 우분투는 보통 6개월 주기(매년 4월과 10월)로 새로운 버전이 발표됩니다.. 따라서, 앞의 숫자는 년도, 뒤의 숫자는 달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코드네임은 '형용사 + 동물이름'의 형식으로 지어지는데, 알파벳의 순서대로 진행되고 두 단어의 첫 문자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을겁니다. 따라서 다음버전은 9.10, K... K...로추정할 수 있겠네요..^^ 물론 이미 Karmic Koala (인연있는 코알라)로 발표 됐지만서도..

                                    데스크탑 큐브

그럼..이만 우분투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마치며.. 잠깐이나마 우분투를 사용해본 소감을 적자면비록 무료로 쓸수있는 오픈소스 운영체제지만..비싼 MS 윈도우즈의 대안으로 충분한 운영체제 라는 것입니다. 물론 저같은 일반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어려운점이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대한민국의 덜떨어진 인터넷 환경과 아직은 익숙하지 않음이란데서 많은부분 기인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조금의 노력으로 적지않은 경제적 비용 절감과 불법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면.. 아주 매력적인 선택이 될수도 있지 않을까요..??..^^